
후면부 디자인은 기존 보다 많이 개선이 되었습니다.

T 자형 LED를 제공하면서 전면부 디자인과 통일성을 높였습니다.
변경된 테일램프 디자인은 기존 보다 훨씬 산뜻하면서 심플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 같아요.
호불호가 있겠지만 방향지시등의 위치가 하단 범퍼 쪽으로 이동했습니다. 방향지시등 역할과 후진등 역할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범퍼 하단부에는 디자인 요소로 듀얼 테일 머플러를 추가했는데, 하체를 체크해야 실제 머플러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겠지만
위치와 기존 렉스턴의 하체를 보면 싱글 라인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리얼 머플러일 가능성은 낮다고 예상됩니다.

전면 / 측면 / 후면부 디자인을 보셨는데, 기존의 틀을 유지하면서 전면과 후면의 핵심 디자인을 변경했지만, 올 뉴 렉스턴이라는 이름을 부여했을 정도로 완전히 다른 차량처럼 보이는 것 같습니다.
국내 제조사의 경우 페이스리프트에서 풀체인지 수준의 디자인 변경을 적용하면서 파격적인 디자인 변화를 기대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수입차량과 비교해 본다면 이번 디자인 변경은 풀체인지 수준이라고 해도 충분할 것 같은데, 실내의 변화도 체크해 보겠습니다.

※ 유튜브에서 "연못구름"채널을 "구독"하시면 신차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상기 이미지를 누르면 이동)

실내 인테리어의 변화는 처음 보면 기존차량과 비슷한 느낌이지만, 세부적으로 체크해 보면 기대했던 것보다 디테일이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급감과 감성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 요소를 찾아볼 수 있는데 어떤 부분인지 살펴보시죠?

운전자에게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은 12.3인치로 사이즈를 크게 확대하면서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3가지 모드가 제공됩니다. 차별적인 내비게이션 모드가 제공될 것 같습니다.

AV 미러링 모드도 제공될 것 같습니다.

계기판 중앙에서 내비 정보가 표기되는 턴바이턴 모드도 제공될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은 현대나 기아차보다도 쌍용차가 한발 앞선 기능으로 주행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유용한 기능인데, 쌍용차가 잘하고 있는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고급감을 높이기 위해서 고휘도 실버 색상으로 변경이 되었는데, 에어벤트 홀 주변과 글로브 박스 위, 스피커 커버 등이 변경되었는데, 사진상으로는 비슷한 느낌이지만, 실제 본다면 기존 보다 고급스러운 느낌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특히, 전자식 변속레버가 새롭게 추가되면서 최신 반자율 주행 기술도 함께 제공되었지만, 국내에서 변속레버 방식의 차량을 만나기 힘든 점을 고려해 본다면 직관적인 조작감으로 안전성을 향상하고 친숙하면서 손맛을 느낄 수 있는 전자식 변속레버가 제공된다는 점은 개인적으로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자식 변속레버가 제공되면서 기어 콘솔의 위치가 좀 더 위로 상향되었는데, 운전자 인터페이스도면에서도 한층 개선되었네요!
드라이버 모드가 제공되며, ISG가 제공되면서 연비 향상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자식 변속레버의 경우 시동을 걸었을 때에 레버 상단에 월컴과 시동을 종료했을 때에 굿바이 세레모니 기능이 제공됩니다.
색다른 느낌이겠죠?
고급 차량에서 제공하는 컵홀더의 덮개와 무선 충전기는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새로운 디자인의 4 스포크 핸들은 반자율 주행 기능이 새롭게 제공되면서 디자인이 변경되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손잡이 부분 디자인이 다이아몬드 패턴인데, 전면부 그릴과, 계기판, 퀼팅 패턴까지 모두 다이아몬드 패턴임을
알 수 있네요!
사진상으로는 조금 커 보이는 것 같은데 4 스포크 방식의 핸들은 반자율 주행시 손을 자연스럽게 올려놓을 수 있기 때문에 구조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디자인은 사진으로는 조금 구식처럼 느껴지지만 실물로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새로운 디자인의 오버헤드 콘솔은 물리적인 버튼에서 터치 방식으로 조작감이 변경되었습니다.
미리 보기 영상에서 캡처한 이미지인데 하이그로시 마감 재질로 고급스러워졌습니다.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제공하는 퀼팅 패턴은 범위가 확대되었는데, 시트의 좌우와 허벅지 좌우, 도어트림에서 볼 수 있으며
다이아몬드 패턴이 좀 더 촘촘하게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