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그것이 알고 싶다

말도 안돼! 카니발 VS PV5 실내 공간 누가 더 클까? 수치로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연못구름 2025. 8. 5. 12:06
반응형

 

안녕하세요? 연못구름입니다.

최근 #PV5 소식을 연달아서 알려드렸는데요. PV5는 기아가 목숨을 걸었다고 표현해도 될 정도 앞으로 기아에게 정말 중요한 차량입니다.

그래서 발표현장에서 새로운 #EGMPS 플랫폼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을 알려드렸는데요.

 

 

현재까지는 PV5 #패신저 #카고 만 출시가 되었기 때문에 과연 어떤 모델이 출시될지 궁금하시죠?

자영업자를 위한 오픈 배드 (샤시캡)이 준비되고 있고, #라이트캠퍼 모델, #내장탑차 #냉동탑차 가 연이어서 출시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다양한 모델로 변신이 가능한가요? 이유는 레고 블럭처럼 처음부터 고객의 요구에 맞춘 바디 구성을 위해서 "플랙시블 바디 시스템"으로 제작했기 때문인데요.

 

 

말도안돼! 카니발 보다 PV5 실내 더 크다! 레그룸,헤드룸,숄더룸 제원 공개!

     

 

 

 

말 그대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맞춤 제작이 가능합니다.

 

 

아무리 좋아도 차량을 타면서 발생되는 AS 비용 즉, 유지비용도 중요한데, 블럭처럼 조립하는 "플랙시블 바디 시스템"은 사고 등으로 인해서 외장 부품이 파손되었을 때에 파츠별로 구분해서 조립이 되기 때문에 파손된 파츠만 교체하면 됩니다.

EGMP.S 플랫폼위에 블럭과 같이 구성해 놓았기 때문에 다양한 차량을 만들수 있으며, 또한 사고가 발생되어서 외장 부품을 교체할때에도 비용적으로 저렴한 획기적인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신 미니밴 카니발과 PV5 패신저의 실내 공간을 제대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4미터 중반의 PV5와 5미터 초반의 카니발 이게 비교가 되겠습니가?

이렇게 말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전기차 제대로 만들면 비교될 수 있습니다.

 

 

 

# 실내 공간 비교

 

먼저 헤드룸 부터 비교해 보겠습니다. 이유는 MPV 차량을 구입하는 이유는 넓은 실내 공간도 있지만, SUV 대비 바닥이 낮기 때문에 서서 이동할 수 있죠? 여름에 가족들과 바다를 간다면 아이가 서서 수영복을 갈아입을 수 있는 정도로 헤드룸에 여유가 있습니다.

외부 크기에 해당되는 전장은 카니발이 5155mm 이며, PV5는 4695mm 입니다 .

 

 

정확히 전장에서 460mm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정도 차이라면 타이어가 하나 더 있는 차이라서 엄청난 차이입니다.

이런 차이는 주차할때 불편하냐? 편하냐?를 결정하게 되고, 구입할때 여성인 아내가 운전하기에 너무 큰 차량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습니다.

 

사실 4695mm 라면 준중형 SUV 스포티지와 비슷한 크기입니다. 이렇게 비교해 보면 예상보다 훨씬 작은 차량이 PV5 입니다.

 

 

# 실내공간 세부 비교

 

실내 공간을 가늠하는 수치는 딱 3가지만 알고 계세요!

먼저 헤드룸입니다. 헤드룸은 머리 공간이죠?

 

헤드룸
(머리공간)
구분(mm)
PV5 패신저
카니발(7인승)
1열
1020
1039
2열
1076
1003
3열
1045
981

 

결과는 예상과 다르죠? 1열을 제외한 2열과 3열 모두 PV5가 카니발 보다 여유로운 헤드룸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내 바닥에서 천장까지 거리가 헤드룸인데, 1미터가 넘으며 성인은 허리를 조금 숙이고 옷을 갈아입을 수 있으며, 어린 아이는 쉽게 갈아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차박을 하시는 분들은 아무리 큰 대형급 SUV 와 비교해도 헤드룸에 있어서 여유가 있으며, 차박을 할때 실내에서 생활하기에도 확실히 편리하고, 또한 답답하지 않아서 개방감 역시 확보가 되죠!

1열은 카니발 보다 2cm 정도가 낮지만 2열과 3열을 좀 더 높죠! 1열 부터 3열까지 모두 1m가 넘어가는 헤드룸은 뒤로 진행될수록 낮아지는 카니발과 확실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간이 2열인데 카니발 보다 무려 73mm가 더 높기 때문에 이건 차원이 가능다고 할 수 있겠네요!

 

 

 

말도안돼! 카니발 보다 PV5 실내 더 크다! 레그룸,헤드룸,숄더룸 제원 공개!

     

 

 

이래서 알아야 된다는 겁니다. 따라서 차박을 포함한 2열을 상시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카니발 보다 PV5가 좋은 선택입니다.

우리가 차량을 선택할때 자주 체크하는 레그룸 공간을 어떨까요? 46cm가 더 긴 전장을 갖춘 카니발이 아무래도 더 여유로운 레그룸을 제공하지 않을까요?

 

레그룸
(다리공간)
구분(mm)
PV5 패신저
카니발(7인승)
1열
1041
1044
2열
995
1029
3열
1000
903

 

결과는 예상보다 놀라운데요. 저는 사실 물리적인 크기는 뛰어넘기 힘들다고 생각했는데.. 수치로 비교해 보면 비슷합니다.

1열 레그룸은 3mm 차이라서 이걸 느낄 수 있는 분은 없다고 생각하며, 2열은 카니발이 좀 더 여유롭고 3열은 PV5가 좀 여유롭습니다.

그래도 순수 공간 차이를 알고 싶어서 레그룸을 합산해 보겠습니다.

 

 

PV5는 1열+2열+3열 레그룸을 더하면 3036mm의 레그룸 공간이 나왔고요!

 

 

 

카니발은 1열+2열+3열 레그룸을 더하면 2976mm의 레그룸 공간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레그룸 기준으로 PV5가 카니발 보다 약 60mm 더 넓은 레그룸을 갖추고 있습니다. 외부 크기는 46cm나 작았는데.. 레그룸은 6cm나 더 넓기 때문에 사실 충격적이죠?

전기차가 제대로 장점을 발휘하는 순간입니다.

마지막으로 숄더룸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숄더룸은 어깨의 공간이죠? 특히 2열에 2명이 탑승하는 경우와 3명이 탑승하는 경우에 불편함은 완전히 다르죠?

자영업자 용도로 2열에 3명이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용도라면 숄더룸은 중요한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숄더룸
(어깨공간)
구분(mm)
PV5 패신저
카니발(7인승)
1열
1732
1630
2열
1617
1606
3열
1590
1511

 

이번 결과는 미쳤다고 표현하고 싶네요! 지금까지 비슷한 범위에서 경쟁을 했다면 숄더룸을 차원이 다릅니다.

먼저 1열 숄더룸은 카니발 1630mm PV5 1732mm

 

무려 102mm 차이가 나며 10cm 이상에 차이가 발생됩니다. 획기적이라고 표현해야 겠네요!

2열 숄더룸은 카니발 1606mm PV5 1617mm로

 

정확히 11mm 약 1cm 이상 차이가 발생됩니다.

3열 숄더룸은 카니발 1511mm PV5 1590mm로

 

3열 숄더룸도 압도적으로 PV5가 카니발 보다 무려 79mm가 더 넓으며, 약 8cm가 더 넓다고 해야겠네요!

결론적으로 단순히 외부 사이즈로 봤을 때 당연히 카니발의 실내 공간이 무조건 클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꼼꼼하게 비교해 보니, PV5의 실내 공간이 더 여유롭고 짐을 수납하는 경우라도 좀 더 많이 수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캠핑카, 공구차량, 레저활동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차량을 활용하고 싶다면, 어쩌면 카니발 보다 PV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말도안돼! 카니발 보다 PV5 실내 더 크다! 레그룸,헤드룸,숄더룸 제원 공개!

     

 

 

사실 그동안 큰 실내공간을 원해서 미니밴 카니발을 구입하신 거 잖아요? 설마 큰 전장을 원해서 구입하신 분들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도대체 전기차의 장점이 뭐야? 저 역시 궁금해서 비교해 봤는데.. 결론은 꽤 매력적인 차량이 PV5가 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알려주세요! 그럼 저는 다음에 좀 더 좋은 영상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구독과 알림설정 하시면 다음 영상도 기다리지 않고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소식도 놓치지 않고 빠르게 보고 싶다면 채널에 구독과 알림설정 잊지마세요! 감사합니다.

 

 

 

✔ 2% 캐시백 신차구입+ 가장 빠르게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장기렌트나 리스입니다. (하단 링크 복사)

https://www.welcar.kr/recommend?userId=43049

 

 

신차정보는 유튜브 연못구름 채널을 통해서 가장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 잊지마세요^^;

https://www.youtube.com/@newscar

 

 

반응형